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삶과 믿음] 신앙의 길, 깨달음의 길

우리는 절대 진리를 하나님, 도 혹은 불성이라고 이야기합니다. 종교에 따라 다양하게 그 이름을 붙이고 있는데 그 본질은 하나입니다.   우리의 불성 혹은 하나님이 전지전능하다고 이야기하는데 그것이 구체적으로 무슨 뜻인지 한번 생각해 보아야 합니다. ‘전지의 능력’이 하나님께 있다 혹은 우리 불성에 구족 되어 있다는 믿음이 있어야 기도도 정성 있게 하고, 수행에서도 난관이 있을 때 역경을 잘 극복하고 꾸준히 하게 됩니다.   여러분은 과거에 전신 마취 후 수술한 적이 있는지요? 깊은 최면에 들어가면, 의사와 간호사가 어떤 대화를 하며 어떻게 수술을 했는가에 대해 다 상기한다고 합니다. 의식 차원에서는 이를 기억하지 못하지만 깊은 최면상태에서 이를 기억해 내는 것은 우리 마음속에서는 이런 전지의 능력이 있다는 것을 말해줍니다. 성자들은 바로 이런 세계를 확실히 깨닫고 의식의 세계에서도 이를 잘 활용하는 분들입니다. 어떤 사람의 이름이 갑자기 생각나지 않을 때가 있습니다. 그러나 나중에 마음이 고요해지면 갑자기 그 이름이 생각납니다. 이 역시 우리 마음 깊은 곳에 전지(全知)의 세계가 있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말하는 것입니다.   우리 마음에 드리워진 많은 욕심과 망념이 구름 역할을 해서 밝은 자성의 태양, 즉 우리 본성의 빛을 가리는 것입니다. 이러한 우리 본성 즉 전지전능한 하나님이 바로 우리 신앙의 대상이자 수행의 표본이 됩니다.   보이지 않는 본성 혹은 하나님의 모습이 신앙의 대상과 수행의 표본이 된다는 것이 너무 추상적으로 생각된다면, 일원상의 진리와 합일된 부처님 혹은 예수님의 인생이 우리의 수행 표본이 될 수 있습니다. 기독교인이 어떤 결정을 하기 힘들 때 ‘예수님이라면 이 경우에 어떤 판단을 내렸을까?’하고 생각하면 됩니다. 바른 판단으로 인도될 것입니다.   우리의 본성 혹은 하나님이라는 표준이 어려우면 부처님 혹은 예수님 언행이 표준이 되면 됩니다. 우리가 이분들의 말씀과 언행을 자주 묵상하고 닮아가려고 하면 우리가 언제가 부처님, 예수님과 근접하게 됩니다.   신앙에 바탕을 둬서 수행할 때 진리와 하나가 되는 첫 번째는 우리의 본래 마음, 진리를 깨달은 것입니다.   중국 선종의 2대 조사인 혜가는 젊은 시절을 유교에 조예가 깊은 학자였습니다. 많은 학식에도 불구하고 마음의 안정을 얻지 못한 그는 인도에서 한 고승이 왔다는 이야기를 듣고 소림사를 찾아갑니다. 달마대사는 소림사 위에 있는 동굴에서 참선하고 있었는데, 혜가가 동굴 앞에서 기다려도 좀처럼 나오지 않습니다.   참선을 마치고 동굴을 나온 달마가 “왜 나를 찾느냐?” 물었습니다. 혜가는 “마음이 불안하니 불안한 마음을 안정시켜주십시오.” 말했습니다. 그러자 달마는 “네 불안한 마음을 내게 가져오거라” 말했습니다. 자기의 불안한 마음을 어떻게 보여줄지 생각하다가 어떤 방법도 생각나지 않아 “불안한 마음을 보여줄 수 없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그럼 내가 네 불안을 마음을 이미 안심키셨느니라.” 달마가 말했습니다. 이 말에 혜가는 첫 번째 깨달음을 얻고 나중 달마대사의 법을 잇는 선종 2대 조사가 되었습니다. 이 유명한 일화가 시사하는 바는 아주 큽니다. 혜가 대사의 물음은 ‘왜’ 내 마음이 불안할까 하는 일반 사람들의 생각과 흡사합니다.     그러나 달마대사의 질문은 잎과 가지의 질문에서 뿌리를 보게 하는 질문이었습니다. 즉 ‘왜’ 불안하냐는 것이 아니라 ‘무엇’이 불안하냐는 것입니다. 개가 돌에 맞으면 개는 돌을 쫓아가지만, 사자는 돌을 던진 사람을 쫓아간다는 말이 있습니다. ‘왜’ 불안하냐는 환경적 가지의 물음보다, ‘무엇’이 불안하냐는 뿌리가 되는 ‘마음의 본체’를 지적하는 달마대사의 물음이었습니다. 이는 우리가 마음의 본체를 알면, 불안 염려 등의 제반 문제가 저절로 해결된다고 하는 가르침입니다. 이가 바로 불교의 핵심입니다. 따라서 불교를 ‘깨달음’의 종교라고 하는 것입니다. 뿌리가 잘리면 잎과 가지도 결국 죽게 되듯, 우리 마음의 본질을 알면, (우리가 염려하고 걱정을 하는 뿌리는 우리의 자아 관념 즉 ‘나’라는 생각에서 나옴) 우리의 고민과 제반 걱정 근심이 없어지고 해탈하게 되는 것입니다. 선가에서는 이를 ‘직지인심(直指人心) 견성성불(見性成佛)’이라 합니다. 즉 마음을 바로 알게 되어 부처를 이룬다는 말입니다. 유도성 / 원불교 원달마센터 교무삶과 믿음 깨달음 신앙 불안 염려 우리 마음속 나중 달마대사

2025-05-15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